논문을 읽다보면 데이터를 그래프로만 나타내고 명확한 수치가 없는 경우가 간혹 있다. 물론 별도로 값을 논문에 기입하지 않았다면 논문의 흐름상 아주 중요하지 않기 때문일거다. 그럼에도 ‘나에겐 중요한 값’일 수 있다. 그래프의 값을 별도의 표에 명시하지 않은 논문은 구글링을 잘하다보면 해당 논문에 관련한 보고서를 찾아서 첨부 자료 등에서 수치를 얻거나, 저자한테 이메일을 보내서 받을 수 있겠지만 이메일 답변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허다할 것이다.
그래프 그림은 있으나 수치 값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Digitizer 로 값을 추출하면 된다. 아주 정확한 값은 아니더라도 이용하는데에는 무리가 없을 수준으로 값을 찾아준다.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Engauge Digitizer 를 추천한다. 윈도우즈 뿐만 아니라 리눅스, 맥 등의 다른 운영체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github 링크에 가서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춰 다운로드해서 사용하면 된다. 윈도우즈 버전의 경우 설치해도 되고, 무설치 실행 버전을 받아서 사용해도 된다.
Digitizer의 사용은 의외로 단순하다.
- 이미지를 import 한다.
- x-y 등의 축을 지정한다. (위의 그림에서는 커서 아이콘 우측 빨간색 수직축 아이콘) 이때, 축상에 세점을 찍어서 해당 값을 입력시킨다.
- 값을 얻고 싶은 선 또는 점을 찍어댄다.
- Export해서 csv 파일 등으로 저장한다.
- 이제 csv 파일을 가지고 지지고 볶으면 된다.
의외로 놀라웠던 것은 대학원 생활이 끝나갈 때까지 digitizer의 존재를 모르는 이들이 꽤나 된다. 어느날 밤, 다른 연구실 후배가 박사 학위 논문을 쓰다가 신기한 프로그램이 있다며 digitizer 이야기를 할때 그 당황스러움. 그동안 다른 이들의 데이터와 나의 데이터를 같이 그릴 때 어떻게 하였던 것이였을까.
디지타이저로 열심히 값을 추출했는데, x값의 간격이 제멋대로이고 특정 x값에서의 y값을 알고 싶다면, 보간법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파이썬 보간법(python interpolation)] (2020.06.02. 추가)
(2017.09.07. 작성된 글입니다.)
'컴 & 프로그래밍 > 유용한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쿠위키(dokuwiki) : 개인 위키를 써보자 (0) | 2020.09.17 |
---|---|
SQLite 데이터베이스 손쉽게 확인하기: DB Browser for SQLite (0) | 2020.05.21 |
대학원 생활하며 유용하게 사용했던 프로그램들. (6) | 2020.05.16 |
이공계 그래프 소프트웨어 (Origin 대체 SciDAVis) (1) | 2020.05.10 |
플로우차트 (Flowchart) 및 관계도 그리기 (3) | 2019.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