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줄리아가 아직까지는 널리 쓰이지 않는 마이너한 언어이다보니 자잘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끔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는 줄리아로 그래프를 그리는 것을 자세하게 설명하려는 것은 아니고, 간단한(?) 팁만 남기려고 합니다.

(저는 Atom + Juno 환경에서 Julia를 쓰고 있어,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lots.jl

일반적으로 그래프를 그린다면, Plots.jl 패키지를 먼저 설치하고, PyPlot, Gr, PlotlyJS 등 필요한 것을 설치하시면 됩니다.

 

우선 저한테 아래와 같은 데이터프레임이 있습니다. 네, 요즘에 제가 이것저것 공부해보는 주식관련 데이터입니다.

위의 데이터프레임으로 아래와 같이 그래프를 그려봤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아실 분들은 아시겠지만 Plotly로 그려진 그래프입니다.

 

  • 그래프 안에 한글을 쓰고 싶다면 Plotly 로 해야 합니다.

뭐 이런 황당한 경우가 있나 싶지만, Plotly 없이 그냥 plot을 쓰면 한글이 이상한 문자로 나타나는 걸 보실 겁니다. 개인적으로 plotly를 선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글을 넣고 싶다면 아직까지는 다른 선택은 없어보입니다. 구글링을 열심히 해보았지만 외국에서도 plotly를 쓰라는 것 이외에는 다른 해결책은 찾지 못했습니다. 일단 알파벳을 쓰는 애들은 문제가 없을테니...

 

저도 처음에는 "그냥 영문으로 쓰지 뭐" 했다가, 연구논문을 쓸 것도 아니고 나중에 주가 데이터 라벨의 회사명이 한글로 못 쓰면 엄청 불편할 것을 생각하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습니다.

 

저는 그래프를 그리기 전에 아래처럼 plot()과 plotly()를 두개나 쓸데없이 먼저 실행합니다.

Plots.plot()
Plots.plotly()

이유는, plot()만 쓰면 앞서 이야기한대로 한글이 깨집니다. 그렇다고 한글을 위해 plotly()만 쓰면 위 그래프에서 하단 x축이 제가 지정한 값이 아닌 인덱스로 나옵니다. 즉 "2020-01-01" 이런게 아니라 "50"처럼 인덱스 값으로 나옵니다. 근데 정말 어처구니 없게 위처럼 2개를 먼저 실행하고 그래프를 그리면 해결이 됩니다.

 

반응형

'컴 & 프로그래밍 > JUL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ulia: Gtk GUI / TreeView  (0) 2020.05.01
Julia 프로그래밍 EUC-KR을 UTF-8로 변환  (0) 2020.04.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