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위키(dokuwiki) : 개인 위키를 써보자
발단
기나긴 대학원생 종족으로 생활하던 시절, 에버노트나 원노트와 같은 노트 프로그램은 온갖 자료를 모으고, 생각을 정리하는데 좋은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요즘은 노션(notion)이 대세인 듯싶고, 가끔 사람들이 사용기를 보면 정말 잘 만들어진 툴인 듯싶네요. 내가 편집한 글과 자료가 서버를 통해 어느 PC에서나 동일하게 볼 수 있는 게 노트 서비스들이 장점이긴 합니다.
나름 노트 프로그램에 돈 쓰는 것을 아끼지 않았던 저였지만, 최근에는 집의 개인용 PC와 휴대폰에 시놀로지 노트스테이션만 설치해서 쓰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가장 많은 시간 다루는 업무용 PC가 보안 문제로 외부 인터넷이 연결이 안 되고 있기 때문에 활용하는 범위가 급격하게 줄었습니다. 인터넷이 연결되는 외부망 PC와 출장용 노트북이 있으나, 업무 관련한 자료와 내용이 외부 서버에 올라가게 할 수는 없기 때문에 노트 서비스의 활용이 크게 줄었습니다.
한 1년 가량 업무와 관련해서 노트를 안 썼더니 점차 한계가 다가왔습니다. 제가 기억력이 좋은 것도 머리가 좋은 것도 아니니, 업무와 관련하여 정리할 툴이 필요했습니다. 폴더를 잘 만들어 문서 하나하나 잘 정리해서 만들고 하는 성격이 아니라서 업무에 필요한 노트 프로그램들을 찾아봤었습니다.
탐색
개인적으로 업무용 노트 정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다음 조건이 필요했습니다.
- 라이센스 문제가 없어야 함 (업무 PC에 설치)
- 설치 및 백업이 편해야 함
- 글 작성 등 사용법이 편해야 함
- 각 문서들끼리 서로 쉽게 하이퍼링크가 되어야 함 (Wiki와 같이..)
- 외부 서버에 동기화 될 필요는 없음 (어차피 인터넷 차단 PC)
- 업무용 PC이니 윈도우10에서 작동해야 함
- 꾸준히 업데이트가 되며 수동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해야 함
막상 찾으려고 보니 마음에 드는게 없습니다. 요즘 세상에 서버를 통한 싱크가 되지 않는 노트 프로그램을 찾으려 하다 보니, 마땅한 게 안보입니다.
무엇보다도 정리하고자 하는 업무 관련 내용들이 서로 하이퍼링크로 이어졌으면 하는 생각에 위키 형태로 되었으면 했습니다. 개인 PC에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위키를 봤더니 Zim, Cherrytree, TiddlyWiki, Dokuwiki로 선택지를 줄였습니다.
비교
TiddlyWiki는 파일 하나로 되어 있다고 하여 다운로드 받아서 봤더니 html 파일이 하나 있었습니다. 깔끔하긴 한데, 파일 하나에? 파일 1개라는 것을 좋긴 한데, 다른 의미로 데이터 백업은? 저장할 때마다 다운로드 폴더에 동일한 파일명에 (1)이 붙은 파일이 생기는 것을 보고 황당했었습니다. 한 시간 가량 가지고 놀다가 포기했습니다.
Zim은 용량이 기억나질 않지만, 설치하면서 프로그램 생긴거에 비해 용량이 크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단 인스톨 과정이 있다는 게 후보군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더군다나 빠릿빠릿하지도 않고, 마음에 드는 것은 latex 수식이 가능하다는 정도였습니다.
Cherrytree는 다른 후기를 볼때 제목 등의 한글이 깨진다고 하였기에 꺼려졌으나, 제가 설치했던 버전에서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다만, 글씨체를 선택한다거나 할 때 깨져 보이는 게 좀 있었는데, 크게 문제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최근에도 개발이 계속되고 있고, 의외로 깔끔하여 나름 괜찮은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표의 셀을 병합한다던가 수식을 넣는다는 것은 딱히 방법이 없어 보여 포기했습니다. 하지만, 무설치 포터블 버전도 있고 상당히 좋은 점수를 주고 싶은 노트 프로그램이었습니다.
Dokuwiki는 그냥 위키입니다. 웹브라우저로 하는 그냥 위키. 다만 Dokuwiki도 무설치 포터블 버전이 있어서, 로컬호스트 주소로 접속하면 웹 위키를 하듯 실행할 수 있는 미니 서버 프로그램으로 실행합니다. 업무 PC로 옮기기 전에, 인터넷이 되는 PC에서 각종 플러그인 설치 등 기본적인 세팅을 해야 하는 수고가 있었습니다.
선택
Cherrytree가 상당히 괜찮아 보이긴 했지만, 업무 정리에는 좀 더 위키 본연의 모습이었으면 하는 생각에 도쿠위키(Dokuwiki) 무설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뭐가 위키 본연의 모습이냐고 묻는다면 집단지성 등의 이야기를 하겠지만, 저 혼자 쓰는 업무 위키에 집단지성이 있을 리는 없지요. “외형이 위키스럽다”랄까요. 다만, 간결한 마크다운 문법으로 하나의 글을 작성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글 하나로 끝나는 게 아니라 글 안에 쓰인 용어, 문장들을 상세히 설명하는 새 글로 이어지는 하이퍼링크를 만들어 가는 재미가 있습니다. 링크가 계속 이어지다 보면 문서끼리 서로 얽혀있는데, 이게 혼돈이 아니라 깊이를 더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또한, 도쿠위키는 한글 설명을 쉽게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이 크나큰 장점이라 생각됩니다.
설치
우선 도쿠위키 다운로드 사이트에 들어가서 파일을 받습니다. 버전이야 안정 버전(stable)에, 언어는 한국어, MicroApache를 포함하여 다운로드합니다. MicroApache를 포함하는 이유는 윈도우 로컬에서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다운로드한 파일을 보면 확장자가 tgz 파일입니다. 윈도우에 있는 기본적인 압축 프로그램으로는 압축을 풀 수 없습니다. 저의 경우 7zip이 프리웨어이기 때문에 7zip으로 2번에 걸쳐 압축을 풀었습니다.
압축을 다 풀고 나면 run이라는 명령어 스크립트가 나오는데 이걸 실행시킵니다.
윈도우 디펜서가 일부 기능을 차단했다고 뜨는데 허용해줍니다.
위와 같이 cmd 창이 하나 뜨면서 웹브라우저에는 다음과 같이 최초 인스톨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우측 상단에 언어를 en에서 ko로 바꾸면 한국어로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키 이름이나 관리자 아이디, 이름, 패스워드 등은 그냥 입력하면 됩니다.
"환경 설정 관리자 - 고급 - ASCII가 아닌 파일 이름을 인코딩하는 방법"에서 아래와 같이 "safe"로 선택 바랍니다.
다른 옵션 url, utf-8로 선택을 하게 되면, 윈도우에서 MiniApache로 운영하는 도쿠위키에서는 한글 이름의 파일을 저장하지 못합니다. 정말 열심히 작성해서 저장을 했더니 아주 긴 Warning 메시지를 보이며 작성한 글을 잃게 됩니다.
다양한 플러그인을 "확장 기능 관리자"에서 검색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보니 여러가지는 필요하지 않고, 다음 3가지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 imgpaste : 클립보드의 이미지를 ctrl+v로 바로 붙여 넣을 수 있습니다. 익스플로러에서는 안된다고 하던데, 저는 크롬을 써서 문제없습니다.
- include : 문서 안에 다른 문서를 끼워 넣을 수 있습니다.
- pagelist : 페이지 전체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하이퍼링크가 끊겨버린 고립된 문서가 없도록 찾아보기 위함입니다.
템플릿을 변경할 때에도 동일하게 "확장 기능 관리자"에서 검색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template"로 검색하면 상당히 많이 나오는데, 버전에 적합한지는 따로 안 나타나는 것 같더군요. 저는 https://www.dokuwiki.org/ko%3Atemplate 에서 템플릿을 확인해보고 설치합니다.
이용하기
설정이 끝난 위키 프로그램은 절차를 거쳐 업무 PC에 옮겨 이것저것 업무와 관련하여 정리하는데 이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무언가를 정리하는 행위를 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릴뿐더러 당장 앞에 있는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는 그리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업무와 관련하여 절차, 내용 등을 하나하나 정리를 해놓으면,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유사 업무를 할 때 쉽게 찾아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개인적인 업무 백과사전을 만들어 놓은 것이니, 과거 사례에 내가 어떻게 처리했었던 것인지 참조하게 되었을 때 힘들게 정리했던 보람을 찾게 됩니다.
물론 인터넷이 자유로운 업무 환경에서는 일정 비용이 들더라도 evernote, notion 등의 좋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본인이 서버 관리를 좀 한다 싶으면, 서버에 도쿠위키를 설치하는 것도 괜찮긴 하지만 보안 관리하기가 여간 귀찮은 게 아니니, 돈 주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게 좋긴 좋습니다..
'컴 & 프로그래밍 > 유용한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UCASH(그누캐시)로 가계부 작성 (0) | 2022.11.15 |
---|---|
MinGW-w64 : Windows에서 GNU 컴파일러 사용하기 (0) | 2020.09.26 |
SQLite 데이터베이스 손쉽게 확인하기: DB Browser for SQLite (0) | 2020.05.21 |
대학원 생활하며 유용하게 사용했던 프로그램들. (5) | 2020.05.16 |
이공계 그래프 소프트웨어 (Origin 대체 SciDAVis) (1) | 2020.05.10 |